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8. 조사선의 근본사상은 마음

기자명 정운 스님

마음이 본성과 다르지 않은 이가 조사

원문: 부처로부터 조사에 이르기까지 또한 다른 일을 논하지 않았다. 오직 일심만을 논했으며, 또한 일승을 말했다. 그래서 ‘시방을 두루 살펴 구해도 다시 다른 승이 없다. 이 대중은 곁가지가 아니라 잘 익은 열매와 같다’라고 하셨다. 그러나 이 뜻은 믿기 어렵다. 달마가 이 땅에 와서 양나라와 위나라에 머물 때, 오직 혜가대사 한 사람만이 면밀히 자심(自心)을 믿고 언하에 문득 즉심시불을 깨달았다. 신체와 마음을 모두 잊는 것을 대도(大道)라고 한다. 대도는 본래 평등하다. 왜냐하면 중생이 (부처와 더불어)동일한 진성임을 깊이 믿어야 한다. 마음과 본 성품은 다르지 않다. 본성이 곧 마음이다. 마음이 본성과 다르지 않은 이를 조사라고 한다. 그러므로 ‘마음의 불성을 체득했을 때, 이를 불가사의라 한다’고 설하는 것이다.

‘조’는 만물시초이자 근본
조사선은 노장 가미된 선
본래성불 묘사한 법화경은
조사선 설명해 줄 최적 경전

해설: 원문의 ‘부처로부터 조사에 이르기까지 또한 일승을 말했다’에서 일승은 ‘법화경’에서 주로 설하지만, ‘화엄경’이나 ‘유마경’ 등에서도 설한다. 일승이란 모든 중생이 부처의 세계인 깨달음에 들도록 인도하는 수레라는 뜻이다. 곧 모든 중생이 차별 없이 깨닫는다는 것이다. ‘유마경’에서는 성문·연각 수행이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하지만, ‘법화경’은 대승적인 차원에서 성문과 연각도 성불할 수 있다며 포용적이다. 곧 ‘법화경’은 일불승만을 지향하지만, 중생의 근기에 맞춰 방편을 시설했음을 밝히고 있다. 각각의 방편을 긍정하면서 일승의 참 의미를 밝히기 위해 ‘삼승방편 일승진실’임을 밝히고 있다. 일승을 설명하기 위해 ‘법화경’에서는 일곱 가지 비유를 들고 있다. 이 가운데 ‘화택’비유가 있다.

오래된 큰 저택에 불이 나자 장자는 불러도 나오지 않는 아이들에게 방편으로 장난감 수레[羊車·鹿車·牛車]를 주겠다고 한다. 그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오자, 장자는 아이들에게 세 수레가 아닌 그 보다 더 좋은 백우거[大車]를 주었다. 장자는 부처님이요, 아이들은 어리석은 중생에 비유하며, 방편으로 세 수레[三乘]를 주겠다고 한 것은 성문[양거]·연각[녹거]·보살[우거]승에 비유를 든 것이다. 그리고 백우거는 일불승(一佛乘)이다. 곧 ‘법화경’에서는 ‘한 사람도 성불하지 않는 자가 없다[無一不成佛]’고 하였다.

‘능가경’이나 ‘금강경’이 선경(禪經)이라고 하지만, 크게 선사상이 드러나지 않는 반면 조사선을 잘 설명해줄 수 있는 경전은 ‘법화경’이다. ‘유마경’이 선적인 경지를 잘 표현했다면, ‘법화경’은 본각 사상이나 본래 성불을 비유로 묘사해 놓았다.  

원문에 달마의 제자로 등장한 혜가(慧可, 487~593)는 40세 무렵, 선정 속에서 ‘큰 선지식이 있거늘 여기에만 있느냐?’는 소리를 관하고 자신의 이름을 ‘신광(神光)’이라 고친 뒤, 달마를 찾아 팔을 잘라 구법 의지를 보인 후 물었다. “스님, 어떻게 하면 이 마음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겠습니까?” “그대의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오너라. 가지고 오면 너의 마음을 안심시켜 주리라.” 달마는 이후 ‘혜가’라는 법명을 주었다. 이것이 그 위대한 안심법문이다.

‘마음이 불성과 다르지 않은 이를 조사’라고 했는데, 조사(祖師)의 ‘조’는 뿌리의식의 표현이다. 만물의 시초요, 근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노자는 이것을 천지의 근원, 만물의 스승이라고 하였다. ‘보림전’에는 조사의 의미에 대해 불심의 근본을 밝혀 조금도 착오가 없는 생활방식이 깨달음과 합치하는 자를 ‘조’라고 했으며 ‘대도에 통달하지만 대도에 무한하며, 불심에 통하지만 불심에 어떤 경계가 없으니, 범부와 성인 모두에 발자국을 남기지 않고 초연한 것을 ‘조’라고 이름한다’고 하였다. 8∼10세기 후반까지를 조사선시기라고 하는데, 인도 정통적인 교설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에 와서 중국의 문화[노장사상]가 가미되어 중국화된 선으로 탈바꿈된 선을 조사선이라고 한다. 임제는 현재의 마음이 언제나 변하지 않고 살아 있는 사람을 조사라고 호칭한다고 하여 어떤 것에도 의지하지 않는 무위진인을 조사라고 하였다. 조사란 할아버지라는 뜻으로 결국 조사선은 인간의 기준점에서 인간이 바로 부처인 인간의 개성을 제일로 삼는다. 우리나라의 조사선 우위 사상은 구산선문 가운데 성주산문 무염의 ‘무설토론’과 사굴산문 범일 국사의 ‘진귀조사설’로 드러나 있다.
 
정운 스님 saribull@hanmail.net
 


[1413호 / 2017년 11월 1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