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선이 독선을 탓하다

기자명 법보신문

논설위원칼럼-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

지혜·자비없이 외치는 ‘정의’
독선·오만으로 흐르기 쉬워
아집·독선 감옥에 갇힌다면
불제자 자처해도 불자 아냐

 미국의 매사추세츠주 애머스트 지역의 고교 여자배구 선수 메건 라이스(왼쪽)는 팀원들과 달리 홀로 기립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표현했다. ESPN 홈페이지
지난 2월1일 한국일보 대학생 인턴기자 정우진의 ‘그래도 난 서 있겠다-홀로 선 고교생의 조용한 시위’라는 기사에 실린 사진 한 장이 눈길을 끌어 자세히 읽게 되었다.

이 기사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주 애머스트 지역 여자고등학교 배구대회 개막 경기 시작에 앞서 국가가 연주될 때, 허리케인스 팀의 선수들이 미국 내에 깊게 뿌리박힌 아시아 ‧ 아프리카 ‧ 남미계 유색인종 등 소수집단 차별에 항의하는 뜻에서 한쪽 무릎을 꿇은 채 기립을 거부하였지만 라이스라는 선수는 ‘차별 항의 표시를 해야 한다’는 동료들의 뜻에 동의하면서도 국가 연주가 끝날 때까지 일어서서 의례를 마쳤던 것이다.

라이스는 “(미국 내에 인종차별 등) 부당함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기립을 거부하는 건 내 방식이 아니다. 나는 국기와 국가에 대한 존경심을 갖고 있다”고 자신이 함께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러나 동료들의 행동도 전적으로 지지하고, 자랑스럽다”며 존중을 표했다고 한다. 팀 동료들도 라이스가 자신들의 결정을 따르지 않았다고 해서 그를 비난하지 않았다. 동료들은 “그를 존중하고, 라이스가 무릎을 꿇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의 행동을 지지하지 않는 건 아니다”라며 서로에 대한 믿음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물론 라이스도 처음에는 동료들이 자신의 행동에 나쁜 반응을 보일까 두려워했지만, 그것은 기우(杞憂)에 지나지 않았다. 그는 “몇 경기를 치르고 난 뒤, 동료들이 내 행동에 편견을 갖지 않는다는 걸 깨달아 편안해졌다. 심지어 서로가 동의하지 않더라도 내 결정을 존중한다는 걸 알게 됐다”며 팀의 단결력을 자랑했고, 팀의 코치도 “당신도, 나도 의견이 다를 수는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서로를 존중한다”며 ‘다름을 인정하는 팀 분위기’를 확인해주었다는 것이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장면인가. 길지 않은 이 기사를 저장해두고 가끔 꺼내볼 때마다 내 입가에 미소가 절로 일어난다.

부처님과 같은 성인일지라도 100% 완벽한 인간은 없을 것이고, 따라서 지식이 뛰어난 이들 중에도 각자 갖고 있는 생각이 틀릴 수 있다. 그러나 “내 생각은 완벽하다. 결코 틀릴 리가 없다”는 지나친 ‘자기 확신’에 사로잡힌 이들이 점점 많아져서 우리 사회의 갈등을 더욱 넓고 깊게 만들고 있어 걱정이다. 정치인을 비롯한 각 분야의 독선에 빠져 있는 이들을 비판하면서 “다른 사람들, 특히 소수자의 의견도 존중하라”고 요구하는 이들 중에도 아집에 사로잡혀서 ‘독선이 독선을 탓하는 상황’을 연출하기까지 한다.

19세기 영국 출신 사상가 존 스튜어트 밀은 자신의 명저 ‘자유론’에서 이렇게 말한다. “전체 인류 가운데 단 한 사람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 사람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일은 옳지 못하다. 이것은 어떤 한 사람이 자기와 생각이 다르다고 나머지 사람 전부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일만큼이나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우리가 인천(人天)의 스승으로 받들어 모시는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내가 한 말이라고 해서 무조건 믿지 말고, 그것이 진리에 부합하는지 따져 본 뒤, 맞지 않으면 과감히 버리라”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히며 ‘독선’을 경계하였다. 우리가 그분을 ‘지혜와 자비를 함께 구족하신 귀한 분[兩足尊]’이라 칭하며 존경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고, 그러니 누구든 ‘아집과 독선’의 감옥에 갇혀 있다면, 설사 부처님 제자를 자처할지라도 그는 불제자가 아니다.

 
요즈음 우리 사회 곳곳에 ‘정의(正義)’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매우 당연하고 적극 환영할 흐름이다. 그러나 지혜와 자비를 함께 담아내지 못한 채 외치는 ‘정의’는 자신의 독선과 오만(傲慢)으로 흐르기 쉽다. 자기 확신에 가득 차서 ‘정의로운 세상’을 꿈꾸며 자신과 ‘다른 인종‧다른 생각들’을 증오하였던 히틀러와 스탈린이 인류 역사에 끼친 죄악이 얼마나 컸던가. 다른 생각과 의견이 많다는 것은 건강하다는 표시이다. 어느 집단이든 일사불란(一絲不亂)만큼 위험한 것은 없다.

[1408호 / 2017년 9월 2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 이 기사를 응원해주세요 : 후원 ARS 060-707-1080, 한 통에 5000원 

저작권자 © 불교언론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501호
  • 대표전화 : 02-725-7010
  • 팩스 : 02-725-7017
  • 법인명 : ㈜법보신문사
  • 제호 : 불교언론 법보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7229
  • 등록일 : 2005-11-29
  • 발행일 : 2005-11-29
  • 발행인 : 이재형
  • 편집인 : 남수연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형
불교언론 법보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ND소프트